BMI 지수
BMI 지수란 Body, Msaa Index 를 줄인 말이다
즉 지방의 양을 측정하여 비만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체중과 신장의 관례를 의미한다.
체질량 지수 라고도 하며 케틀레지수(Quetelet index)라고보 불린다.
File:Body mass index chart.svg - Wikimedia Commons
commons.wikimedia.org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저체중은은 29kg이하, 정상체중은30~70.2이며 비만은 99.1~150, 초고도비만은 150kg이상이다.
세계보건기구한 국제 공중보건을 책인지는 유엔 전문 기구이며 2023년 기준으로는 194개국의 회원국가가 WHO에 가입되어있다. 이의 목적은 세계모든 인류가 최고의건강 수준을 기여하고 도달하기 위한 목표가 있다.
하지만 이 BMI를 통해 과체중 또는 비만을 판정하기에는 부적절하고부정한 방법이라는 지적이 많르며 체지방률의 기준으로 비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순전히 키와 몸무게 만으로 계산되고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근육은 지방보다 부피가 무겁기 때문에 지방은 적지만 근육이 많은 사람은 높게 측정된다. 그래서 이 BMi 지수를 통해 비만을 평가하는 방법은 옳은 방법이 아니며 한국인들을 포함한 동아시아인들은 BMI가 22.5이상 27.5 미만일때 사망위험이 가장 낮았다는 연구결과가 뒷받침해 있다. 현재 한국에서 비만에 해당되어 분류되어있는 사람들의 사망위험이 과장되어 표에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적정체중에 대한 기준선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다.
BMI 지수 계산방법
BMI = 체중(kg) / 신장(㎥)
BMI를 계산하는 방법 :체중(kg)을 키(cm)의 제곱으로 나누는 것이다.
예시를 들어보자,
체중이 65kg 나가는 여성의 신장은 166.5cm 이다. 이여성의 BMI 지수는 몇일까?
= 65/1.65
= 23.4 로 과체중이다.
BMI 지수 정상범위 및 기준
18.5 이하면 = 저체중
18.5 ~ 22.9 사이면= 정상
23.0 ~ 24.9 사이면 = 과체중
25.0 이상부터는 = 비만
비만이란 우리 몸에 지방이 지나치게 많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러한 비만은 체지방량 값으로 진단하는 것이 아이다 그러기 때문에 신장 대비 체중의 수준(체질량지수)이나 허리둘레 치수를 이용하여 진단하기도 한다.
체질량 지수와 체지방률에 따른 비만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일반적으로는 체지방이 많을 경우 체중도 많이 나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체지방량과 체중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A라는 사람은 체중은 많이 나가지만 근육량이 많을 경우 체지방량은 정상 수준이어서 사실상 비만이 아닐 수 있다. A와 반대로 근육량이 적을 경우 체중은 정상범위라 할지라도 체지방이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를 B사람인 마른 비만이라고한다. B마른 비만은 운동량은 부족며 단백질은 적고 열량이 높은 식품을 섭취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나타는 현상이다. 그리고 식사시간은 불규칙하고 다이어트를 극단적으로 하는 부적절한 방법들이 반복하여 요요현상을 겪은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나게 되는 현상이 마른 비만이다.
마른비만일 경우 많이 위험하다. 이는 몸 안에는 체지방이 많은 상태로 피하 지방량은 적고 근육량도 적어 겉보기에는 날씬해 보이는게 문제이다. 미의 기준이 외적으로만 보여지는게 전부가 아니지만 현재 사회는 그러하다.
마른비만들은 체지방과 내장지방이 많기때문에 이상지혈증, 당뇨병, 뇌혈관질환, 고혈압,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기때문에 건강관리를 필수로 해야한다.
근육량이 많아 체중으로는 비만에 해당되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실제 체지방량은 많지 않다면 비만은 아니다.
따라서 체중조절이 전혀 필요치 않으며 현재 체중을 유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결과이다.
허리둘레 기준
성인남자 비만 - 90cm 이상
성인여자 비만 - 85cm 이상
체지방률 기준
남자 - 비만 25%이상
여자 - 비만 30%이상
소아청소년 비만
소아청소년의 비만은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2017)」에 근거하여 판정하며 이는 성장도표의 성별, 연령에 해당하는 체질량지수가 95백분위수 이상이다.
비만 : 95 백분위수 이상 또는 25kg/m2 이상
과체중 : 85 ~ 95 백분위수
가장좋은 방법은 자기몸평가하는 것이다.
일명 '눈바디' 라고도 많이 불리며
본인의 눈과 체성분 분석이 브랜드인 인바디 기계의 합성어이며 자신의 몸을 눈으로 직접보는 것이다.
이방법은 체중계나 인바디의 숫자에 집착 할수 있는 스트레스를 덜어주는 부분과 스스로에게 피드백이 바로 올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강박관념에서 빠져나와 긍정적으로 재미있게 다이어트를 하면서 내몸을 가꿀수있는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시각적인 자극이 높을 수록 다이어트에 성공할 확률도 높으며 스스로에게 동기부여 할 수있는 시간도 늘어난다.
모든지 단시간에 빠르게 이벤트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진행한다면
이는 좋은습관으로 이어지고 건강한 삶에 한발더 나아갈수있다.
건강이 우선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수화물 중독 부족증상 다이어트 음식종류 (3) | 2025.02.09 |
---|---|
인바디(InBody)점수 체중계 보는방법 기계추천 (0) | 2025.02.09 |
기초대사량 높이는방법 계산방법 측정방법 평균 (2) | 2025.02.07 |
저속노화 5가지 방법 건강한 다이어트 하는 방법 (1) | 2025.02.06 |
건강한 식습관 만들기 대표적인 10가지 (2) | 2025.02.05 |